바람과 함께 사라진 [바람의 나라]
표절 의혹과 성형 의혹의 공통점
거의 한달에 한 번 꼴로 터지는 만화 주변의 표절과 그 이해 당사자들의 주고 받는 말을 보면서 참 닮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성형 의혹을 제기받은 연예인들의 행태와 닮았다.
최근 가수 전혜빈의 등장에 인터넷이 시끄럽다. 얼굴 좀 고친다고 손가락질 받는 세상도 아니고 ‘저 갈아 엎었어요.’라는 고백이 당당함과 진보성을 보여준다고 등 떠미는 세상이다. 그래서 성형 의혹에 쿨하게 대처한 양미라, 옥주현, 현영, 자두, 김남주, 성현아, 박명수... 차라리 이들이 당당하긴 하다. 게다가 얼굴을 바꾼다는 것이 머리 파마 한 번 해보지 못한 나로서는 엄청난 용기를 바탕으로 가능한 행동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아직도 성형 의혹에 대한 당사자 반응은 당당함과 거리가 멀다. 한 동안 안 보이다가 방송 혹은 카메라에 잡혀 이상한 얼굴이 네티즌에 보이면 그 날부터 시작이다.
했네 안했네, 볼살을 뺐네 덧니를 뺐네 온갖 설들이 난무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적당한 시기가 되면 아주 못 봐주겠다는 듯이 기자회견 또는 인터뷰를 통해서 언론에 흘린다.
순위를 매길 수는 없지만 가증스러운 순으로 치자면 단연 압권이 ‘원래 그랬어요.’다. 주로 가슴 의혹에 사용되는 스타일인데 발육 성장이 엄청난 집안 내력까지 들먹이며 글래머 유전자를 날린다. 가증의 쌍벽은 ‘일축’에서도 비호감 버전인 ‘사진이 잘 나와서 그런 걸 어쩌란 말이죠?’형이다. 실제보다 사진이 잘 받았다는 겸손 가장형 일축도 매 한가지. 현대 의학을 우습게 여기는 무대뽀형도 있다. 뭐 감기에 걸렸는데 얼굴이 달라졌다거나 치아 교정만 했을 뿐인데 턱이 날아간 듯 보인다는 사례들이다. 또 간만에 나온 연예인의 경우, 새 영화 또는 음반의 “분위기에 맞춰 화장을 달리했는데 이 점이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며 제법 담담한 척 하는 여우 스타일이다. 어린 친구가 성인이라고 불릴 즈음에 쓰는 말은 젖살이 날아갔다는 주장이 사용된다. 나이로 봐서 젖살 운운하기에는 가당치도 않은 연예인은 그래서 다이어트의 결과라고 둘러 댄다.
변명도 다양하지만 이들 중 얼굴 엎어서 손해 본 사람은 조용히 무대 뒤로 사라지게 되고 돈 가치를 본 연예인은 슬슬 말을 바꾼다.
“조금 칼 댔어요.”
성형과 표절의 의혹에 대처하는 일반적 행태가 이렇게 일단 거짓말부터 하게 되는 것은 그 본질이 같기 때문이다. 성형은 자신의 얼굴이 아니라 남들이 좋아할 얼굴로 갈아버린 것이고 표절은 자신의 머리에서 나온 창작이 아니라 남들이 좋아할 내용으로 채워버린 것이다. 그 둘의 공통점은 내가 아니라 남의 것 또는 남의 시선에 맞춘 것이며 남의 시선에 의존하는 거짓 삶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성형은 자식을 낳았을 때 원판불변의 법칙으로 들통나고 표절은 헛된 인기가 올라 자기 역량으로 채우지 못할 작가가 되었을 때 함량 미달의 작품으로 들통난다.
게다가 처음 하는 거짓말이라도 무수한 거짓말의 시작이듯이 한번의 성형은 거기서 그치기보다 2차 3차의 수술로 끝간데 없이 진행되기도 한다. 한번의 표절로 얻은 인기도 무수한 표절 재범의 유혹에 놓여 있다. 한번은 즐겁겠지만 계속 즐거울 수 없는 것이 성형과 표절의 거짓말이다.
감춘 성형과 표절은 참 피곤하게 살아가는 첨단의 방법이다.
2006. 7. 3.
주 모씨.
표절 의혹과 성형 의혹의 공통점
거의 한달에 한 번 꼴로 터지는 만화 주변의 표절과 그 이해 당사자들의 주고 받는 말을 보면서 참 닮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성형 의혹을 제기받은 연예인들의 행태와 닮았다.
최근 가수 전혜빈의 등장에 인터넷이 시끄럽다. 얼굴 좀 고친다고 손가락질 받는 세상도 아니고 ‘저 갈아 엎었어요.’라는 고백이 당당함과 진보성을 보여준다고 등 떠미는 세상이다. 그래서 성형 의혹에 쿨하게 대처한 양미라, 옥주현, 현영, 자두, 김남주, 성현아, 박명수... 차라리 이들이 당당하긴 하다. 게다가 얼굴을 바꾼다는 것이 머리 파마 한 번 해보지 못한 나로서는 엄청난 용기를 바탕으로 가능한 행동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아직도 성형 의혹에 대한 당사자 반응은 당당함과 거리가 멀다. 한 동안 안 보이다가 방송 혹은 카메라에 잡혀 이상한 얼굴이 네티즌에 보이면 그 날부터 시작이다.
했네 안했네, 볼살을 뺐네 덧니를 뺐네 온갖 설들이 난무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적당한 시기가 되면 아주 못 봐주겠다는 듯이 기자회견 또는 인터뷰를 통해서 언론에 흘린다.
순위를 매길 수는 없지만 가증스러운 순으로 치자면 단연 압권이 ‘원래 그랬어요.’다. 주로 가슴 의혹에 사용되는 스타일인데 발육 성장이 엄청난 집안 내력까지 들먹이며 글래머 유전자를 날린다. 가증의 쌍벽은 ‘일축’에서도 비호감 버전인 ‘사진이 잘 나와서 그런 걸 어쩌란 말이죠?’형이다. 실제보다 사진이 잘 받았다는 겸손 가장형 일축도 매 한가지. 현대 의학을 우습게 여기는 무대뽀형도 있다. 뭐 감기에 걸렸는데 얼굴이 달라졌다거나 치아 교정만 했을 뿐인데 턱이 날아간 듯 보인다는 사례들이다. 또 간만에 나온 연예인의 경우, 새 영화 또는 음반의 “분위기에 맞춰 화장을 달리했는데 이 점이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며 제법 담담한 척 하는 여우 스타일이다. 어린 친구가 성인이라고 불릴 즈음에 쓰는 말은 젖살이 날아갔다는 주장이 사용된다. 나이로 봐서 젖살 운운하기에는 가당치도 않은 연예인은 그래서 다이어트의 결과라고 둘러 댄다.
변명도 다양하지만 이들 중 얼굴 엎어서 손해 본 사람은 조용히 무대 뒤로 사라지게 되고 돈 가치를 본 연예인은 슬슬 말을 바꾼다.
“조금 칼 댔어요.”
성형과 표절의 의혹에 대처하는 일반적 행태가 이렇게 일단 거짓말부터 하게 되는 것은 그 본질이 같기 때문이다. 성형은 자신의 얼굴이 아니라 남들이 좋아할 얼굴로 갈아버린 것이고 표절은 자신의 머리에서 나온 창작이 아니라 남들이 좋아할 내용으로 채워버린 것이다. 그 둘의 공통점은 내가 아니라 남의 것 또는 남의 시선에 맞춘 것이며 남의 시선에 의존하는 거짓 삶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성형은 자식을 낳았을 때 원판불변의 법칙으로 들통나고 표절은 헛된 인기가 올라 자기 역량으로 채우지 못할 작가가 되었을 때 함량 미달의 작품으로 들통난다.
게다가 처음 하는 거짓말이라도 무수한 거짓말의 시작이듯이 한번의 성형은 거기서 그치기보다 2차 3차의 수술로 끝간데 없이 진행되기도 한다. 한번의 표절로 얻은 인기도 무수한 표절 재범의 유혹에 놓여 있다. 한번은 즐겁겠지만 계속 즐거울 수 없는 것이 성형과 표절의 거짓말이다.
감춘 성형과 표절은 참 피곤하게 살아가는 첨단의 방법이다.
2006. 7. 3.
주 모씨.
덧글
.
다이어트!! 정말 힘든일이죠.
먹으면서도 칼로리 2/3가 소멸되는 방법이 있어요.
지방을 분해해주는 유기농 다이어트..
[상담신청] ==> http://me2.do/x2KasLVc
.
.